2023 공예주간 공예문화 프로그램 기획 공모(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창업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기술인이 대한민국 미래다!

서울특별시
기술교육원 남부캠퍼스

2025학년도 개설과정

(서울시민 대상)
가구디자인, 옻칠나전, 조경관리, 자동차(기업협력형), 자동차정비산업기사(과정평가형), 요양보호사
(내일배움카드과정)
보석디자인, 조경기능사필기·실기,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커피바리스타2급, 미용사, 이용사, 떡제조기능사, 도배기능사

뒤로가기 창업정보

창업정보

2023 공예주간 공예문화 프로그램 기획 공모(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남혜성

2022-11-16

  • 댓글

본문

2023 공예주간 공예문화 프로그램 기획공모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22 공예주간」에 함께 참여할 기획

프로그램을 공모합니다. 전국 다양한 공간과 시설에서 운영할 수 있는 이번 공모에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공예문화를 보다 가까이 누릴 수 있도록 역량 있는 기업, 그룹, 단체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행사개요

 

○ 행 사 명 : 2023 공예주간(KOREA CRAFT WEEK 2023)

○ 행사기간 : 2023년 5월 19일(금) ~ 5월 28일(일), 총 10일간

○ 행사장소 : 문화역서울284 및 전국, 온·오프라인

○ 행사내용 :  전시, 마켓, 체험, 이벤트 등 공예 행사 집중 개최

 

 공모개요

 

 ○ 지원대상 : 2023 공예주간 기간 전시, 체험, 마켓, 교육 등 공예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기업, 기관, 단체

                      (협회, 협동조합, 프로젝트 그룹 등 포함)

 ○ 공모분야 : 2023 공예주간 전시, 체험, 마켓, 교육, 포럼 등 기획 프로그램

 ○ 접수기간 : 2022년 10월 24일(월) ~ 11월 25일(금) 24:00까지

 ○ 지원규모 : 총 355,000,000원(일금 삼억오천오백만 원)

구분

공모내용

구분

(건당 지원 예산 최대 기준시)

선정규모

(최대 기준시)

총예산

(최대 기준시)

2023 공예주간

예산지원 프로그램

 - 공예주간 기간 내 기업 및 기관, 프로젝트

    그룹, 협회, 단체 등이 진행하는 전시, 체험,

    마켓 등 다양한 프로그램

 - 기관 및 사업자의 경우 사업자 등록증

    제출 필수

- 프로젝트 그룹의 경우 고유번호증 제출

※ 개인 및 지자체 직접 지원 불가

2,000 만원

3개

6,000 만원

1,500 만원

8개

12,000 만원

1,000 만원

12개

12,000 만원

500 만원

11개

5,500 만원

총 예산

35,500 만원

   ※ 1개 단체당 최대 1건 지원 가능, 중복 지원 불가

   ※ 건당 지원 예산과 선정규모는 심의 진행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 지원예산은 2023년 국회예산심의에 따라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 지원금은 e-나라도움(보조금관리시스템)을 통한 교부 및 사용 필수

 

○ 제안 프로그램 유형

 - 공예주간에 적합한 전시, 체험, 마켓 등 다양한 공예문화 프로그램 기획 및 제안

  ※ 제안 프로그램은 공예주간 기간 오프라인(대면) 운영을 원칙으로 하며, 온·오프라인 복합은 가능하나

       온라인(비대면) 프로그램으로만 운영되는 프로그램은 제외

분야

내용

전시

전통 및 현대 공예를 기반으로 한 기획전시 운영

체험․교육

일반 지역 주민, 학생, 문화 소외계층 등 대상별 공예 체험 및 교육 운영

마켓

공예, 라이프스타일을 기반으로 공예주간 기간 마켓 운영

기타

전통 및 현대 공예,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자유 제안

 

○ 가점 항목

구분

공모내용

① 지자체 연계 프로그램

- 지자체 연계 행사 및 프로그램에 해당하거나, 지자체 운영 공공시설

  대관 협조 등을 받은 경우 가점 부여

* 지자체 : 지방자치법 제2조 1항에 따른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지방자치단체 (시군구 포함)

- 공문 제출 필수

※ 추후 협조 내용이 변경 또는 취소 됐을 경우, 지원금 반납 가능

② KCDF 공예매개인력

연계 프로그램

- 공예 매개인력 수료자 1인 필수 포함인 경우 가점 부여

  (2018~2022)

- 공예 매개인력 수료자의 경우 참여 비중이 최소 30% 이상이여야함

* 수료증 필수 첨부

※ 공예 매개 인력 수료자는 공예주간 종료 시까지 필수 운영

   인력으로 진행해야 하며, 중도 포기의 경우 선정 취소 또는

   지원금 환수 조치 가능

③ 2022 공예주간 올해의 프로그램,

인기 프로그램 선정 단체

- 2022 공예주간 올해의 프로그램 및 인기 프로그램 선정 단체의 경우 가점 부여

※ 가점은 위 항목별로 부여, 복수 해당 가능

※ 가점은 1차 서류심사 시에만 적용

 

 ○ 확인 사항

  - e-나라도움(국고보조금시스템)을 통한 보조금 교부 및 정산 예정으로 관련 협조 필수 

  - 프로그램 선정은 신규 프로그램 혹은 기존 운영 프로그램에서 2023 공예주간 연계로 재창작되어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함.

  - 전국 단위의 행사로 지역에 따른 분배 및 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

  - 공예주간 공예문화 프로그램으로 3회 이상 지원받은 단체의 경우 공모 신청은 가능하나,

    선정 시 예산 조정이 불가피함.

 

 신청 및 접수 안내

 

 ○ 접수 기간 : 2022년 10월 24일(월) ~ 11월 25일(금) 24:00까지 / 총 5주간

   ※ 접수 마감일, 마감 시간까지 접수된 내용만 인정합니다.

 ○ 접수방법 : 온라인 사업신청 홈페이지 접수 ※ 오프라인 접수 불가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사업 공모 홈페이지(http://www.kcdf.kr/businessapplication)

  - 지정 양식(신청서) 작성 후 공예주간 사업 공모페이지에 신청 

 ○ 접수절차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본 페이지에서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후 작성

10.24(월)~

11.25(금) 기간

내 하단의

“신청하기”

버튼 클릭

회원가입 및

로그인

2023 공예주간

공예문화 프로그램 기획 공모 공고

게시물 하단

“사업신청”

메뉴 클릭

정보 기재 및

필수서류 첨부 후 제출

※ 우편 및 방문 접수는 일체 불가합니다.

※ 제출서류가 미비한 경우 모든 책임은 신청자에게 있으며, 마감일 및 마감 시간 임박 시 높은 접속량으로 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사전 서류 준비와 신청을 권고드립니다.

 

○ 제출 시 필수 첨부서류

① 신청자(단체) 자격 증명서 (사업자등록증, 법인등기부등본, 고유번호증)

② 사업신청서 (지정 양식)

③ 사업계획서 (지정 양식)

④ 신청기관(단체) 현황 (지정 양식)

⑤ 총괄관리자(PM) 이력 (지정 양식)

⑥ 개인정보동의서 (지정 양식)

⑦ 성희롱·성폭력 예방 서약서 (지정 양식)

⑧ 예산계획서 (지정 양식)

※ 지정 양식 및 제출 서류 공모 신청서 참조

 

 선정절차 및 방법

 

○ 선정 절차 및 일정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공고기간

접수기간

1차 서류심사

2차 발표심사

결과발표

’22.10.17.

~ ’22.11.25.

 

’22.10.24.

~ ’22.11.25.

 

’22.12.2.

~ ’22.12.8.

 

’22.12.14.

~ ’22.12.16.

 

’22.12.21.

(예정)

※ 주최 측 사정 및 접수 건에 따라 심사 및 발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음.

 

○ 심사 기준

구분

주요 내용

점수

사업 이해도 및 타당성

- 공예주간 및 공예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 및 부합성

- 공예주간 및 공예문화 프로그램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 타당성

- 사업 예산운용 계획의 현실성

- 공예주간 및 공예문화 프로그램 홍보 및 참여자 모객을 위한

  전략과 방법

30

프로그램 기획력

- 프로그램 기획력 및 콘텐츠 참신성 및 차별성

- 운영 장소, 일정, 참여 인력 등 기획의 구체성 및 실현가능성

- 운영 주체의 유관 분야 경력과 실적

- 사업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확보 및 업무 배분

40

사업성과 기대도

- 공예주간 확산 기여도 및 기대도

- 문화소외계층(지역) 대상 운영을 통한 향유 기회 확대

- 홍보 계획 및 기대효과 실현 가능성

- 지역 예술가/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지역 내 파급력

30

합계

100

 

 유의 사항

 

 ○ 신청 시 유의 사항

  - 지정된 신청 양식이 아닐 경우, 접수된 내용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 허위기재, 기재 착오, 필수서류 미제출 등 결격사유 발생 시 심사 대상에서 제외하며 최종 선정 이후 발견 시 선정이 취소됩니다.

  - 총사업비 산출 근거는 명확히 제시하여야 하며, 과도한 보조금 책정은 심사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중앙부처, 지자체, 기타 공공기관, 기업 등에서 운영하는 「공예관광산업 육성 사업」(2023년 기준)에 선정 및 참여하는 경우,

    동일 프로젝트로는 중복 선정이 불가하며 선정 취소 및 보조금 환수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본 공모 신청 과정에서 주관처에서 제공한 자료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모든 책임은 신청 단체에 있습니다.

  - 본 사업 공모 신청과 관련되어 제출된 자료 일체는 반환하지 않으며, 공모 신청에 따른 일체 비용은 신청 단체가 부담합니다.

  - 내부 임직원 및 외부 관계자 등 주관처 관계자에게 어떠한 형태로든 심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청탁이 확인될 경우,

    해당 단체는 선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적격 단체가 없는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성폭력 가해자 및 그 자가 포함된 단체, 성희롱 신고자에게 불리한 처우를 한 사업주 등에 대한

    보조금 지급 결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 선정 후 유의 사항

  - 심사 및 검토를 통해 사업 및 예산계획서 수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선정 단체는 최종 승인된 사업 및 예산계획서에 따라 사업을 운영하여야 합니다.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주관처의 검토 및

    승인이 필요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사업 진행 중에라도 선정이 취소될 수 있으며 해당 사유로 발생하는 손실의 책임은

    전적으로 선정 단체에 있습니다.

  - 선정 후 일부 내용을 변경하여 초기 제안한 사업 규모와 비교해 현저히 축소됐을 시, 선정이 취소되거나 보조금이 축소될 수 있습니다.

  - 선정 단체는 홍보물(포스터, 도록, 영상 등) 제작 시 주최, 주관 등 후원 명칭 사용 지침에 따라야 하며 주관처 요청에 협조해야 합니다.

  - 선정 단체는 주관처가 진행하는 현장 모니터링, 관람객 만족도 조사 등의 과업에 협조해야 하며 사업 종료 후 결과 보고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 선정 단체는 과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관처의 요청에 성실히 임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정당한 요청사항을 3회 이상

    불응할 경우, 또는 과업 수행 중 허위 사실이 발견될 경우, 주관처는 선정을 취소하고 선정 단체는 이에 대한 법적 책임 및

    연관된 금전적인 손해 일체를 배상하여야 합니다.

  - 보조금은 총 2회에 나누어 지급될 예정입니다. (1차 : 70%, 2차 : 30%)

  - 선정 단체는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및 ‘문화체육관광부 국고보조금 운영관리지침’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야 합니다.

  - 향후 재해 및 감염병 대응 단계에 따라 질병 대응 및 예방을 위해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될 수 있으며, 단계에 따라

    보조금 반납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기타 본 공고 및 추후 안내 사항의 해석에 이견이 있거나 적시되지 않은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상호 협의를 진행하며,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의견을 따를 수 있습니다.

 

 문의처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주간 사무국

- 전화번호 : 02-398-7952 / 이메일 : craftweek@kcdf.kr

- 문의 가능 시간 : 평일 10:00~17:00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 전화 문의가 많으므로 가급적 이메일 문의 부탁드립니다.

○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산업안전보건법 고객 응대 근로 조치」에 근거하여 고객 응대 근로자 보호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USTOMER CENTER

T 031-390-3920

F 031-390-3939

CENTER INFO
MON-FRIAM 09:00 ~ PM 18:00
LunchPM 12:00 ~ PM 01:00
SAT.SUN.HOLIDAY OFF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 589(산본동)
서울특별시 기술교육원 남부캠퍼스 | 개인정보처리관리자 이기철

바로가기
COPYRIGHT NBEDU.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기술교육원 남부캠퍼스는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TALK 카카오톡 채널